TS study: 타입 시스템 (3)

@Troy · January 16, 2023 · 17 min read

🎚 타입 시스템(3)

타입시스템에 대한 정리 중 마지막으로 제네릭, 인덱스 시그니처, Array 타입과 readonly에 대해 정리해보려 한다.

🕹 제네릭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할 수록 느끼는 점은 타입을 다룬다는 것은 추가적인 변수와 함수를 다루는 것 같았다. 그 이유는 변수를 재 사용하고 반복되는 로직은 함수로 분리하듯 타입의 재사용성을 고려해야 했기 때문이다. 코드 반복을 줄이려는 노력은 DRY(Don't Repeat Yourself)로 불리는 프로그래밍의 기본 원칙으로 타입에도 적용된다.

1. 타입 네이밍

중복되는 변수가 있다면 하나의 상수로 정해서 사용하듯이 타입에 이름을 붙여서 사용해 중복을 제거할 수 있다.

// 네이밍 전
function distance(a: { x: number; y: number }, b: { x: number; y: number }) {
  return Math.sqrt(Math.pow(a.x - b.x, 2) + Math.pow(a.y - b.y, 2));
}

// 네이밍 후
interface Point2D {
  x: number;
  y: number;
}

function distance(a: Point2D, b: Point2D) {
  return Math.sqrt(Math.pow(a.x - b.x, 2) + Math.pow(a.y - b.y, 2));
}

위 예제는 x, y의 타입을 정리한 오브젝트 타입이 반복되는 상황이다. 이점을 해결하기 위해 Point2D로 interface를 정의해 서로 다르게 정해져있던 타입을 하나로 정리해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앞서 정리한 함수 표현식으로 매개변수와 반환 값의 타입을 정리했던 것과 같다.

// 네이밍 전
function get(url: string, opts: Options): Promise<Response>{ }
function post(url: string, opts: Options): Promise<Response>{ }

// 네이밍 후
type HTTPFunction = (url: String, opts: Options) => Promise<Response>;
const get:HTTPFunction=(url,opts)=>{}
const post:HTTPFunction=(url,opts)=>{}

2. extends와 intersection 연산자 (&)

하나의 타입이 있고 해당 타입의 속성에 다른 속성을 추가한 타입을 만들 때 새롭게 만들기 보다 앞서 배웠던 extends&를 이용해 속성을 추가할 수 있다.

// 변경 전

interface Person {
  firstName: string;
  lastName: string;
}

interface PersonWithBirthDate {
  firstName: String;
  lastName: string;
  birth: Date;
}

// 변경 후

interface Person {
  firstName: string;
  lastName: string;
}

interface PersonWithBirthDate extends Person {
  birth: Date;
}

type PersonWithBirthDate=Person&{birth: Date}

3. 부분 타입

기존에 정의한 타입의 일부분 속성을 정의할 때 새롭게 정의하고 확장해서 사용했다. 하지만 논리적으로 맞지 않다고 느낀 적이 많았는데 책에서는 인덱싱을 이용해 중복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interface State {
  userId: string;
  pageTitle: string;
  recentFiles: string[];
  pageContents: string;
}

type TopNavState = {
  userId: State['userId'];
  pageTitle: State['pageTitle'];
  recentFiles: State['recentFiles'];
};

위 방법을 이용하면 부분 타입을 정의할 수 있다. 하지만 일일이 속성을 나열해 반복되는 부분이 있다. 이점을 해결하기 위해 mapping을 이용할 수 있다,

type TopNavState = {
  [k in 'userId' | 'pageTitle' | 'recentFiles']: State[k];
};

type TopNavState = Pick<State, 'userId' | 'pageTitle' | 'recentFiles'>;
//  type Pick<T, K extends keyof T> = {
//     [P in K]: T[P];
// };

위 예시의 첫 번째는 mapping을 이용해 반복되는 속성 key를 순회하며 State에 대입한 값의 타입을 받아와 코드 중복을 제거했다. 이러한 mapping은 유틸타입Pick으로 정의되어 있어 두 번째 예제로 좀 더 편하게 나타낼 수 있다. Pick을 사용할 때는 먼저 참조할 Type을 가져오고 해당 타입에서 가져올 key값을 두 번째 인자로 전달한 Generic을 이용해 나타낼 수 있다.

Pick util type은 유용하지만 조심해야 할 부분은 객체 type을 정의한다는 점이다.

interface SaveAction {
  type: 'save';
}

interface LoadAction {
  type: 'load';
}

type Action = SaveAction | LoadAction;
type ActionType = 'save' | 'load';

위 예제에서 ActionType은 이미 정의한 'save''load'를 다시 적어 코드 중복이 발생했다. 이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Pick을 이용하면 될 것 같지만 이때는 mapping을 이용하는 것이 의도에 더 맞다.

type ActionType = Action['type']; //'save' | 'load';

type ActionRec = Pick<Action, 'type'>; // {type:'save' | 'load'}

4. keyof 와 Partial util 타입

interface Options {
  width: number;
  height: number;
  color: string;
  label: string;
}

interface OptionUpdate {
  width?: number;
  height?: number;
  color?: string;
  label?: string;
}

class UIWidget{
  constructor(init: Options) { }
  update(options:OptionUpdate){}
}

위 예제는 Options와 동일한 key를 가진 OptionUpdate타입을 정의하는데 선택적으로 만들기 위해 새롭게 정의한 것을 볼 수 있다.

type OptionsUpdate = { [k in keyof Options]?: Options[k] };

class UIWidget {
  constructor(init: Options) {}
  update(options: Partial<Options>) {}
}

// type Partial<T> = {
//   [P in keyof T]?: T[P];
// };

위 예제를 보면 keyof를 이용해 Options의 key들을 받아오고 새롭게 정의해 코드 중복을 제거했다. key들을 모두 선택적으로 만들기 위해 utilType Partial이 존재한다. Partial의 정의를 보면 앞서 keyof를 그대로 사용한 것을 볼 수 있다.

5. typeof

typeof는 원시값의 타입을 정의하고 재 사용할 때 요즘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연산자인 것 같다. typeof는 원시 값 뿐만 아니라 값에 대해 알고 있을 때 해당 값의 타입을 정의할 때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 typeof 전
const INIT_OPTIONS = {
  width: 640,
  height: 40,
  color: 's',
  label: 's',
};

interface OPtions{
  width: number;
  height: number;
  color: string;
  label: string;
}

// typeof 후 
type OPtions = typeof INIT_OPTIONS; // { width: number; height: number; color: string;label: string; }

함수의 경우 반환 값의 타입을 정의하고 싶을 때 typeof와 utiltype ReturnType을 이용할 수 있다.

function getUserInfo(userId: string) {
  return {
    userId,
    name,
    age,
    height,
    weight,
    favoriteColor,
  };
}

type UserInfo = ReturnType<typeof getUserInfo>;
// type ReturnType<T extends (...args: any) => any> = T extends (...args: any) => infer R ? R : any;

ReturnType의 정의의 조건부 부분이 아직 이해가 되지 않아 이후에 한번 더 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제네릭은 타입을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지만 유연성은 범위가 중요하다. 이러한 범위를 정의해주지 않는다면 타입을 정의해주기 전과 같아질 수 있으므로 extendskeyof와 같은 연산자를 이용해 범위를 명시적으로 정해 줄 수 있다.

type Pick<T, K> = {
  [k in K]: T[k]; // This type parameter might need an `extends string | number | symbol` constraint.
};


type Pick<T, K extends keyof T> = {
  [k in K]: T[K];
};

위의 예제는 k의 범위를 몰라 에러가 발생했지만 extendskeyof를 이용해 key값의 타입으로 정의해 해결할 수 있다.

😃 인덱스 시그니처

인덱스 시그니처는 사용하면서 어려운 부분 중 하나였다. 구체적인 타입을 지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Object.keys와 같이 배열로 나열하는 방식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좀 더 제대로 이해하고 사용하고자 했다.

type Rocket = { [property: string]: string };

위 예제에서 key를 정확히 명시하지 않기 때문에 자동 완성의 도움을 받을 수 없고, value의 타입이 string이 아니라 다른 타입을 가질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그렇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type을 정의할 필요가 있다.

그러면 인덱스 시그니처어디에 쓰여야 할까? 인덱스 시그니처는 동적데이터를 표현할 때 사용되어야 한다. 미리 알 수 없는 데이터를 받아 와야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function parseCSV(input: string): { [columnName: string]: string }[] {
  const lines = input.split('\n');
  const [header, ...rows] = lines;
  const headerColumns = header.split(',');
  return rows.map((rowStr) => {
    const row: { [columnName: string]: string } = {};
    rowStr.split(',').forEach((cell, i) => {
      row[headerColumns[i]] = cell;
    });
    return row;
  });
}

실제로 사용할 값에 대해서 알 수 없을 때 사용하는 것이 인덱스 시그니처의 본질이므로 내가 사용했던 방식은 잘못된 방식이었음을 깨달을 수 있었다.

인덱스 시그니처는 string타입으로 광범위하므로 대체할 수 있는 방법들이 존재한다.

type Vec3D = Record<"x" | "y" | "z", number>
// type Record<K extends keyof any, T> = {
//     [P in K]: T;
// };

Record utilType은 key의 타입을 유연하게 해주면서도 범위를 정해 줄 수 있다.

🚅 Array, Tuple, ArrayLike

배열은 오브젝트다. 그렇기 때문에 오브젝트를 사용하듯 문자열 key로 배열 요소에 접근할 수 있다.

const xs = [1, 2, 3];
const x0 = xs[0];
const x1 = xs['1'];
console.log(x1); // 2

타입스크립트의 Array는 숫자 키만을 허용하고 문자열 키는 다르게 인식해 key type을 하나로 정해 준다.

function get<T>(array: T[], k: string): T {
  return array[k]; // Element implicitly has an 'any' type because index expression is not of type 'number'.
}

실제 런타임은 문자열 키로 인식하지만 타입 체크를 통해 오류를 잡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책을 읽으면서 어떻게 적용하면 좋을지 고민을 해봤지만, 일단은 이러한 부분이 있구나 이해하고 넘어가서 나중에 다시 보기로 생각했다.

😁 Readonly

Readonly는 말 그대로 읽기만 가능하게 해줄 수 있는 연산자로 해당 변수를 변화시키는 것에 에러를 던지게 해 원본을 보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점이 중요한 것은 call by reference를 고려해 객체 타입의 매개변수를 다뤄야 함수로 인한 side-effect를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객체의 경우에 원본의 값이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reference값이 전달되기 때문에 함수 내부에서 변화시킨다면 원본에 변화가 생기는 문제점이 생긴다.

이러한 문제점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바로 readonly연산자다.

function arraySum(arr: readonly number[]) {
  let sum = 0,
    num;
  while ((num = arr.pop()) !== undefined) { // Property 'pop' does not exist on type 'readonly number[]'.
    sum += num;
  }
  return sum;
}

위의 예제는 pop과 같이 원본 요소를 바꾸는 메소드를 호출할 수 없기 때문에 생긴 에러로 함수 내에서 매개변수 내부의 변화가 생기지 않게 막는다. readonly배열에 변경 가능한 배열을 할당할 수 있지만, 반대는 되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 변경 전
function parseTaggedText(lines: string[]): string[][] {
  const paragraphs: string[][] = [];
  const currPara: readonly string[] = [];

  const addParagraph = () => {
    if (currPara.length) {
      paragraphs.push(currPara); //readonly string[]' is 'readonly' and cannot be assigned to the mutable type 'string[]'
      currPara.length = 0;
    }
  };

  for (const line of lines) {
    if (!line) {
      addParagraph();
    } else {
      currPara.push(line);
    }
  }

  addParagraph();
  return paragraphs;
}

앞서 말했던 대로 readonly배열은 변경 가능한 배열에 할당할 수 없어 에러가 발생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원본을 훼손하지 않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앞서 리액트를 공부하며 정리한 불변성을 지켜주면 된다.

function parseTaggedText(lines: string[]): string[][] {
  const paragraphs: string[][] = [];
  let currPara: readonly string[] = [];

  const addParagraph = () => {
    if (currPara.length) {
      paragraphs.push([...currPara]); // 얕은 복사로 새로운 배열을 만들어
      currPara = [];
    }
  };

  for (const line of lines) {
    if (!line) {
      addParagraph();
    } else {
      currPara = currPara.concat([line]);
    }
  }

  addParagraph();
  return paragraphs;
}

Readonly util 타입

Readonly util 타입은 객체의 속성을 readonly로 만들어준다.

const o: Readonly<Outer> = { inner: { x: 0 } };
o.inner = { x: 1 }; // Cannot assign to 'inner' because it is a read-only property.

// type Readonly<T> = {
//   readonly [P in keyof T]: T[P];
// };

😏 Mapping된 타입을 이용해 값 동기화하기

interface ScatterProps {
  xs: number[];
  ys: number[];
  xRange: [number, number];
  yRange: [number, number];
  color: string;
  onClick: (x: number, y: number, index: number) => void;
}

function shouldUpdate(
  oldProps: ScatterProps,
  newProps:ScatterProps
) {
  let k: keyof ScatterProps;
  for (k in oldProps) {
    if (oldProps[k] !== newProps[k]) {
      if (k !== "onClick") return true;
    }
  }
  return false;
}

위 예제에서 ScatterProps interface를 이용해서 현재 Props와 newProps를 비교해 props가 변경될 경우 지도를 다시 그리는 예제를 담고 있다. 실제 리액트에서 컴포넌트가 re-rendering되는 조건 중 하나가 props나 상태가 바뀌는 경우로 기존 props와의 차이를 얕은 비교를 통해 비교한다.

현재 정의된 shouldUpdate에서 onClick함수 변화는 업데이트에 영향을 주지 않게 설정되어 있다. 하지만 만약 새로운 속성이 추가되는 경우에 항상 true이기 때문에 너무 자주 새로 그려지게 된다. 이점을 막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코드로 수정할 수 있다.

function shouldUpdate(oldProps: ScatterProps, newProps: ScatterProps) {
  return (
    oldProps.xs !== newProps.xs ||
    oldProps.ys !== newProps.ys ||
    oldProps.xRange !== newProps.xRange ||
    oldProps.yRange !== newProps.yRange ||
    oldProps.color !== newProps.color
  );
}

위 코드는 일일이 속성들의 변화를 체크하는 방식으로 매번 새로운 속성이 추가될 때마다 작성해 주어야 하므로 비효율적이다.

좀 더 이상적인 방법은 새로운 속성이 추가될 때 타입체커와 매핑된 타입,객체를 이용하는 코드다. 다음 예제를 보자.

const REQUIRES_UPDATE: { [k in keyof ScatterProps]: boolean } = {
  xs: true,
  ys: true,
  xRange: true,
  yRange: true,
  color: true,
  onClick: false,
};

function shouldUpdate(oldProps: ScatterProps, newProps: ScatterProps) {
  let k: keyof ScatterProps;
  for (k in oldProps) {
    if (oldProps[k] !== newProps[k] && REQUIRES_UPDATE[k]) {
      return true;
    }
  }
  return false;
}

keyof를 이용해 Update가 필요한 속성들에 대해 명시해두고, true로 설정해놓은 속성이 변화했을 때만 업데이트될 수 있게 정의했다. 타입과 값이 동기화 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운 속성이 추가되어도 바로 에러가 발생해 알려줄 수 있다.

@Troy
매일의 시행착오를 기록하는 개발일지입니다.